본 강의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사성어의 이해를 돕고자 개설된 강의입니다.
[통감절요], [노자], [한비자], [사기] 등 문헌 속 고사성어의 출처를 알고, 한문 원전의 강독을 통해 고사가 나온 배경과 의미를 되짚어보는 유익한 시간이 되실 것입니다.
『牧隱 李穡의 碑誌文에 관한 고찰』,『陶隱 散文의 문예적 특징』,『鄭道傳 散文에 관한 일고찰』,『한국 한문학의 이론, 산문』(공저),『목은 이색 산문 연구』,『고려시대 산문읽기』,『동양의 지혜 그리고 현대인의 삶』,『조선시대 산문읽기』,『천자문 쉽게 알기』 외 다수
1-1 강 | ![]() |
30분 46초 |
수강
舊수강
-
![]() |
1-2 강 | ![]() |
17분 11초 |
수강
舊수강
-
![]() |
1-3 강 | ![]() |
24분 00초 |
수강
舊수강
-
![]() |
2-1 강 | ![]() |
33분 37초 |
수강
舊수강
-
![]() |
2-2 강 | ![]() |
34분 28초 |
수강
舊수강
-
![]() |
3-1 강 | ![]() |
24분 47초 |
수강
舊수강
-
![]() |
3-2 강 | ![]() |
26분 55초 |
수강
舊수강
-
![]() |
3-3 강 | ![]() |
19분 35초 |
수강
舊수강
-
![]() |
4-1 강 | ![]() |
17분 25초 |
수강
舊수강
-
![]() |
4-2 강 | ![]() |
27분 31초 |
수강
舊수강
-
![]() |
4-3 강 | ![]() |
23분 33초 |
수강
舊수강
-
![]() |
5-1 강 | ![]() |
17분 21초 |
수강
舊수강
-
![]() |
5-2 강 | ![]() |
33분 43초 |
수강
舊수강
-
![]() |
5-3 강 | ![]() |
18분 18초 |
수강
舊수강
-
![]() |
6-1 강 | ![]() |
18분 40초 |
수강
舊수강
-
![]() |
6-2 강 | ![]() |
22분 46초 |
수강
舊수강
-
![]() |
6-3 강 | ![]() |
27분 57초 |
수강
舊수강
-
![]() |
7-1 강 | ![]() |
35분 04초 |
수강
舊수강
-
![]() |
7-2 강 | ![]() |
35분 01초 |
수강
舊수강
-
![]() |
8-1 강 | ![]() |
34분 38초 |
수강
舊수강
-
![]() |
8-2 강 | ![]() |
30분 59초 |
수강
舊수강
-
![]() |
9-1 강 | ![]() |
41분 00초 |
수강
舊수강
-
![]() |
9-2 강 | ![]() |
15분 50초 |
수강
舊수강
-
![]() |
10-1 강 | ![]() |
32분 14초 |
수강
舊수강
-
![]() |
10-2 강 | ![]() |
18분 54초 |
수강
舊수강
-
![]() |
10-3 강 | ![]() |
18분 45초 |
수강
舊수강
-
![]() |
11-1 강 | ![]() |
28분 28초 |
수강
舊수강
-
![]() |
11-2 강 | ![]() |
25분 01초 |
수강
舊수강
-
![]() |
12-1 강 | ![]() |
33분 19초 |
수강
舊수강
-
![]() |
12-2 강 | ![]() |
30분 29초 |
수강
舊수강
-
![]() |
13-1 강 | ![]() |
37분 26초 |
수강
舊수강
-
![]() |
13-2 강 | ![]() |
22분 29초 |
수강
舊수강
-
![]() |
14-1 강 | ![]() |
41분 31초 |
수강
舊수강
-
![]() |
14-2 강 | ![]() |
28분 01초 |
수강
舊수강
-
![]() |
15-1 강 | ![]() |
43분 49초 |
수강
舊수강
-
![]() |
15-2 강 | ![]() |
26분 18초 |
수강
舊수강
-
![]() |
16-1 강 | ![]() |
38분 22초 |
수강
舊수강
-
![]() |
16-2 강 | ![]() |
29분 50초 |
수강
舊수강
-
![]() |
같은 과목의 강좌 안내
다양한 강사의 강좌로 한문 독해력 쑥쑥! |
[서원]중급한문 과정 인문교양 과정 [서원]기초한문 과정 |